늦잠증후군 DSPS(수면위상지연증후군) 테스트, 치료법은?

하루 8시간 자는데 이상하게 늘 피곤하신가요?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는 늦잠도 병이라는 사실! 올바른 일주기 리듬을 되찾아 DSPS 수면위상지연증후군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혹시 밤이 되면 시력이 흐려지며 쉽게 잠들지 못하는 분들이 계신가요? 이런 경우 일반적으로 불면증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만일 다음날 늦게까지 잠을 청한다면, 그리고 이런 패턴이 지속된다면, 이는 불면증이 아닌 ‘늦잠 증후군’일 수 있습니다.

먼저 수면위상지연증후군 테스트를 해보고 본인이 DSPS 증후군인지 알아보세요.


수면위상지연증후군 테스트



본인이 단순히 야행성인지 수면위상지연증후군인지 간단한 테스트로 알아봅시다. 아래 증상에 모두 해당된다면 수면 패턴이 무너졌을 확률이 높아요:

  • 밤이 되면 오히려 잠이 깨고 말똥말똥해진다.
  • 한 번 잠이들면 중간에 깨진 않지만 아침에 일어나기 괴롭다.
  • 자고 일어나도 개운하지 않고 피곤함이 지속된다.
  • 일상생활 중에 머리가 멍해져 집중이 잘 되지 않는다.


만약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있다면 기상 시간을 앞당기는 등 생활습관 개선부터 멜라토닌, 광치료 등 관련 치료에 대해 알아보세요.


DSPS (수면위상지연증후군) 뜻



이의 과학적 용어는 ‘수면위상지연증후군(DSPS)’으로, 수면 패턴이 일반적인 시간대에서 크게 벗어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밤 11시에 잠들고 오전 7시에 깨어나는 것이 이상적인 수면 패턴인데, 새벽 3시에 잠들고 오전 11시에 깨어나는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자주 깨거나 아침 일찍 깨어나는 불면증과 달리, 한번 잠들기 시작하면 중단 없이 푹 자며 숙면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다르게 말하자면, 수면의 질 자체는 문제가 없으며 오직 수면 시간대만 뒤로 밀렸다는 점입니다. 모든 생명체는 ‘생체 시계‘라고도 부르는 일주기 리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리듬은 호르몬 분비를 조절하여 우리가 언제 잠을 자거나 깨야 할지, 언제 식사해야 할지 등의 생활 패턴을 결정합니다.

예컨대 오전 6~8시 사이에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 분비가 가장 많아져서 우리가 잠에서 깰 수 있도록 돕고, 반대로 밤 9시부터 멜라토닌 호르몬 분비가 가장 많아져서 우리가 숙면할 수 있도록 합니다.

즉, ‘수면위상지연증후군’은 이러한 일주기 리듬의 파동 상태를 의미합니다. 일주기 리듬 수면장애가 생기는 원인은 다양한데요. 직장 생활로 어쩔 수 없이 교대근무를 하게 되는 경우, 또는 해외로 여행이나 업무 이후 시차 적응이 잘 되지 않는 등 수면 패턴이 바뀌기 시작하면서 DSPS가 생깁니다.


수면위상지연증후군 치료



일반적으로 성인 수면 시간은 8시간이면 충분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DSPS의 뜻만 보면 큰 문제가 없는 것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드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DSPS 문제점은 이러한 상태가 지속될 경우, 만성 피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적절한 치료는 반드시 필요합니다.

DSPS 증후군이 있으면 잠을 충분히 취해도 계속 졸리다는 느낌이 듭니다. 그러다 보면 신경이 과민해지고, 집중력이 떨어져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심각한 경우에는 스트레스가 쌓여 우울증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생활습관 개선



당신이 불면증을 앓고 있는 것이 아니라면, 수면제는 절대로 복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일상 생활의 리듬을 다시 정상적으로 돌리려면 우선적으로 생활 습관의 개선이 필요합니다.

dsps 수면위상지연증후군



가장 중요한 것은 매일 같은 시간에 깨어나는 것입니다. 잠자리에 들기 바로 전에는 식사나 강한 운동을 피해야 하며, 휴대폰 사용도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낮잠을 즐기고 싶다면? 낮잠을 자도 괜찮지만, 오후 3시 이전에 30분 이내로 제한하여야 밤에 잠드는 수면 패턴에 방해를 주지 않습니다. 주말에 몰아서 잔다고 해서 일주기 리듬이 꼭 좋아지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그럴 경우 평소 유지하던 리듬이 깨질 수 있으니, 주중과 주말 모두 동일한 패턴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DSPS 광치료



생활 습관만으로 부족하다면 병원에서 멜라토닌 보충제를 처방받거나 광 치료를 받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광 치료란 아침마다 태양광과 비슷한 빛을 내는 램프를 사용하여 일주기 리듬을 재조정하는 치료법입니다.

오늘 글이 수면 장애로 고통받으시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잠이 최고의 보약이라는 걸 기억하세요. 바쁜 현대 사회에서 이상적인 수면 패턴을 유지하는 건 쉽지 않겠지만 오늘부터라도 각자의 일주기 리듬 관리를 위해 노력해봅시다!










다른 방문자가 함께 확인한 컨텐츠

뉴스레터 무료 구독


Leave a Comment